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책/지원18

청년 희망 적금 신청방법 및 혜택, 미리보기 청년 희망 적금 신청방법 및 혜택, 미리보기 2월 21일부터 청년 희망 적금이 출시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시중 이자에 더해 납입액의 최대 4%를 저축 장려금으로 지원하는 제도도 1인 1계좌 개설이 가능한 비과세 상품으로 올해까지만 가입 가능한 한시적 상품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혜택이 있으며 가입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정리해봤습니다. 청년 희망 적금 혜택 최대 월 50만 원 한도로 2년 만기 적금 상품이며, 시중 이자에 추가로 납입액의 2~4%를 저축 장려금으로 지원합니다. 만약 최대 금액인 50만원씩 2년간 납입하면, 저축장려금은 최대 36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청년 희망 적금은 비과세 상품으로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따라서 50만원씩 납부.. 2022. 1. 27.
청년 내일채움 공제 조건 및 신청방법 정리 청년 내일채움 공제 조건 및 신청방법 정리 올해 정부정책의 두드러진 점은 2030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책들이 많이 시행된다는 것입니다. 청년 정책으로 기존에도 유명했던 청년 내일 채움 공제는 2022년에 개정된 부분이 있어서 정리해봤습니다. 청년 내일 채움 공제란 청년 내일 채움 공제는 주요 2030의 고용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이 핵심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을 해주는 정책입니다. 중소 기업에 다니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금전적 지원을 통해서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자립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청년 내일채움공제 조건 ​ 1. 나이 : 만 15세 이상~34세 이하 근로자 (중소기업 정규직 취업자, 복무기간에 따라 최대 39세까지 가능) 2. 회사조건 :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 2022. 1. 20.
아플 때 쉬면서 돈도 받는 상병수당 도입 아플 때 쉬면서 돈도 받는 상병수당 도입 아파도 꾹 참고 출근한 경험, 직장인이라면 모두 있을텐데요. 앞으로는 아프면 일을 쉴 수 있고 돈도 받을 수 있는 상병수당 제도가 도입된다고 해요. 우와!! 싶지만 사실 이미 우리나라와 미국을 제외한 OECD에 속한 36개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제도라고 합니다. 상병수당과 산재보험과 차이 산재보험이랑 헷깔릴 수 있는데, 산재보험은 업무상으로 다치거나 질병에 걸렸을 때 회사의 책임이 인정될 경우에 산업재해보험으로 돈을 지원받는 제도예요. 산재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인과관계가 있어야 하는데 종종 뉴스에서 산재인정관련 문제로 기사가 난 것들도 볼 수 있어요. But 상병수당은 일과 관련 없는 이유로 다치거나 병에 걸려서 출근을 못해도 돈을 주는 제도예요. 아프면 쉴 수.. 2022. 1. 20.
통합 공공임대주택 다자녀 기준 변경 통합 공공임대주택 다자녀 기준 변경 2022년부터 다자녀 가구 지원이 3자녀에서 2자녀로 확대됩니다. 이에 따라 2자녀 가정도 신규 도입되는 통합 공공임대 주택에서 다자녀 혜택을 받게 됩니다. 통합임대공공주택은 기존 영구임대, 행복주택 등 임대주택 유형을 통합한 주택으로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이고, 총자산이 소득3분위(5분위 기준) 순자산 평균값(20년, 2.88억원)이하인 무주택 세대 구성원이면 입주 가능합니다. 2022년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150%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중위소득 150% 2,917,218 4,890,128 6,292,052 7,681,620 9,036,773 10,360,506 2022년도 부동산 .. 2022. 1. 7.
2022년 달라지는 것들, 청년 지원 정책 내일 채움 공제 세제 지원 확대 내일 채움 공제 혜택 받으시는 청년들 많죠? 내일 채움 공제를 활용하고 있는 청년에 대한 소득세 감면 비율이 높아집니다. 수령하는 공제금에 대한 소득세 감면비율이 중소기업의 경우 50%에서 90%로 상향되며, 중견 기업의 경우 30%에서 50%로 상향되었습니다. 청년희망 적금 출시 청년 희망 적금은 만 19세~ 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자산형성을 돕기 위한 상품으로 월 50만원씩 2년간 납입하는 하는 적금입니다. 1년차 때는 시중 이자에 2%의 추가 금액이 지원되며, 2년차 때는 4%로 늘어납니다. 여기에 이자소귿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도 적용됩니다. 단, 연간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인 청년에 한해 가입이 가능합니다. 최저임금 인상 2022년 최.. 2022. 1. 1.
2022년 새롭게 변경되는 제도 (임신, 출산, 육아휴직 등 ) 2022년 새롭게 변경되는 제도 (임신, 출산, 육아휴직 등 ) 육아휴직 급여 한도 인상 2022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인상됩니다. 1부모 중 한사람만 사용 시에는 월 최대 150만원(통상임금 80%)까지, 부모 모두 사용시에도 만 0세 이하 자녀인 경우 통상임금 10-%로 월 2-3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처음 3개월 간 금액이고 이후 4~12개월까지는 통상임금 80%, 월 최대 150만원까지 입니다. 22년 이후 출생 자녀 대상 지원금 및 수당 확대 모든 영아 대상 24개월까지 매월 30만원 지급합니다. (가정보육 시 현금 지급, 어린이집 보육 시 바우처 지급) 임신 출산 의료비 바우처 현재 6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됩니다. 첫만남 이용권 출생아 한 명당 200만원의 일시금 바우처가.. 2021. 12. 28.
2022학년도 1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 2022학년도 1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 오늘 11월 24일 부터 2022학년도 1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음주인 11월 30일 화요일 오후 6시까지 한국장학재단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가장학금 신청 대상 국가장학금은 소득에 따라 받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11개로 나눈 가구소득 구간 중 8구간까지 받을 수 있으며, 직전 학기 성적이 B학점 이상, 기초·차상위 계층은 C학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국가장학금Ⅰ유형(학생직접지원형) 소득수준에 연계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혜택이 주어지도록 설계된 장학금으로 대한민국 국적으로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학자금 지원 8구간 이하 대학생 중 성적기준 충족자로 해당학기 국가장학금 신청절차(가구원 동의, 서류제출)를 완료하여 소득수준.. 2021. 11. 24.
행복주택 신청조건 및 방법과 임대료 등 혜택 알아보기 행복주택 신청조건 및 방법과 임대료 등 혜택 알아보기 요즘 정말 미친 집값이죠? 어마어마한 집값 오름새에 원래도 인기였던 청약의 인기가 더더욱 높아진 것 같아요. 오늘부터 행복주택 청약이 시작됩니다. 행복주택 청약에 대해 알아봤어요. 행복주택이란 행복주택이란 임대주택의 하나로 대학생, 신혼부부, 청년들을 대상으로 직장이나 학교가 가까운 곳이나 대중교통이 가까운 중심지에 짓는 임대료가 저렴한 공공주택입니다. 참고로 공공임대주택에는 행복주택, 공공임대주택, 국민임대주택, 영구임대주택이 있는데요. 아래에 차이점 비교해두었으니 참고해주세요. 행복주택 공공임대 (10년) 국민임대 영구임대 젊은 세대의 주거안정을 목적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대상 내집마련 계층 지원 청약저축 가입자 저소득층의 주거안정 소득 4분위.. 2021. 10. 12.
1인 가구 지원제도, 1인 가구 포털 1인 가구 지원제도, 1인 가구 포털 최근 가장 많은 가구형태는 1인 가구라는 것 알고 계신가요? 결혼하지 않은 청년층과 노후에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현재 가장 많은 가구의 형태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서울시에서는 1인 가구 포털을 만들고 1인 가구에 대한 각종 정책과 지원사업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해 두었어요. 어떤 지원사업이 있는지 정리해봤습니다. 1. 안전도어 지킴이 혼자 살면 걱정되는것은 역시나 안전인데요. 성별과 연령에 상관없이 남녀노소 서울시에 거주하는 1인 가구라면 안전도어 지킴이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안전도어 지킴이는 도어카메라와 긴급출동 서비스를 결합한 서비스를 저렴하게 이용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보안기기 설치, 긴급출동 서비스, 월요 이용료 지원으로 구.. 2021. 10. 11.
카드 캐시백이란, 상생 소비 지원금, 소비업종 카드 캐시백이란, 상생 소비 지원금, 소비업종 상생소비지원금이라고 아시나요? 월간 카드 사용액이 지난 2분기 월평균 사용금액보다 3% 넘게 증가한 경우 초과사용액의 10%를 캐시백해주는 정부지원금 제도입니다. 이번 달 카드 사용액이 3% 증가했다면 다음 달 15일에 카드사를 통해 재난지원금처럼 충전되는 개념입니다. 얼마나 되는 것인지 계산해 보면 2분기에 가지고 있는 모든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합쳐 월평균 100만 원을 쓴 경우 10월에 카드로 153만 원을 쓰면 월평균 금액의 3%인 3만 원을 뺀 초과분 50만 원의 10%인 5만 원을 돌려받습니다. 미용실을 간다거나 미뤄둔 병원 등을 가서 10만원쯤 더 사용한다면 어떨까요? 혹은 가전을 바꾸거나 해서 20만 원쯤 다른 달보다 많이 사용한다면? 각각 계.. 2021.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