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적 자유/짠테크일기16

2024년 가구당 평균 소득, 소비 절약을 위한 방법 💡 2024년 가구당 평균 소득, 소비 절약을 위한 방법 2024년 가구당 평균 소득과 소비 변화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1만 5000원이었다고 .해요.  이는 1년 전보다 3.8% 증가한 수치라고해요. 저는 1인가구 인데, 가구당 월평균 기준이라 몇인 가구인지는 살짝 궁금해요. 아쉽게도 월급여가 521만원은 안되지만 아끼고 모아서 연 5000만원 이상 순자산은 증가했어요. 그거 아끼고 모아봐야 1년에 얼마..10년해봐야 얼마 안된다는 말이 많지만 종잣돈을 모으고 불리는건 중요해요. 모으기만 해서 큰 돈을 만들라능게 아니라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만들라는 말이예요. 어디서 뚝하고 종잣돈이 떨어지는게 아니라면 작다고 무시할게 아니라 작은 돈이라도 모아서 종잣돈을 만들어야 그 돈을.. 2025. 2. 28.
1인가구 지출 대비 내 지출은? 내가 잘 하고 있는지 확인받고 싶어하는 마음에 종종 관련 내용을 찾아보곤 합니다. 이번에 보게된 자료는 kb에서 나온 2024 한국 1인가구 보고서예요. 1인가구 월소득은 315만원. 아마 세후겠죠? 다행이 저는 평균이상은 되나봅니다. 월소득의 40% 가량을 생활비로 지출이라고 하네요. 315만원의 40프로면 126만원이네요. 126만원을 기준 퍼센트로 계산해봤어요. 아파트 기준 관리비 24.19만원, 식비 39.56만원, 교통 및 통신비 13만원, 가족용돈 8.5만원 입니다.다음은 2024년을 정리한 제 지출내역입니다. 월평균 160만원 지출했어요. 수입도 평균보다 높지만 지출도 그보다는 높아요. 매달 40~50만원 고정적으로 부모님께 드리는 돈이 있어서 그 금액을 제외한다면 대충 평균치가 되겠어요. .. 2025. 1. 19.
1인가구 생활비, 지출구성 30대 후반 직장생활 10년이 넘었고, 1인가구입니다. 제 지출구성은 다음과 같아요. 10월 가계부 차트입니다. 자본소득을 알고난 뒤부터 수입이 증가했어요. 사회초년생때는 불가능했던 50프로의 저축을 훌쩍 넘어선 저축비율. 물가가 올랐다지만 생활비는 몇년전보다 오히려 감소해서 지금의 지출 비율이 만들어졌어요. 매달 정산을 하긴 하지만 새삼스레 다시 뿌듯하네요. 😊 2024. 11. 18.
1인가구 직장인 순자산 3억 을 앞두고 네이버에서 18년차 미혼 직장인이라는 분의 글을 보게 되었어요. 자산 4억 모으셨다는 내용과 정산 내용.원글:https://naver.me/xIgIOnxE저도 이런식으로 매년 정산을 하고 있고 미혼 1인가구 직장인이라는 점에서 동질감이 들어서 꼼꼼히 읽어보고 제 경우와 비교해보게 되었어요. 보통 이런자료는 연령대별 가구로 나오거나 전체연령으로 한 1인가구 통계로 나오다보니 1인가구 30대 직장인 제 경우와는 항상 맞지 않는걸 느껴서 뭔가 비슷해보이는 경우와 비교를 해보곤 해요.저는 쉬었던 기간을 빼면 12년차 직장인.2023년도 급여수입은 초과근무 및 성과상여금을 포함해서 세후 5500만원 정도. 여기에 금융소득이 추가로 있어요.  올해 처음 종합소득과세자가 되었는데 과세표준은 7700만원입니다. 대체 .. 2024. 5. 26.
파킹통장 추천, 토스 이자 들어온 날 파킹통장 추천, 토스 이자 들어온 날 놀고 있는 돈을 보관할 수 있는 수시입출금 가능한 통장을 파킹통장이라고 합니다. 자동차가 주차하듯이 돈이 잠시 머물렀다가 나가는 통장이라는 뜻. 재학생 때부터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다던 증권사 CMA부터 한때 유행했던 나이제한이 있던 청년전용 입출금통장이나 급여이체를 하면 혜택을 주는 급여통장 등. 수시입출금 가능하면서 비교적 이자율이 높다는 통장을 골라가면서 통장을 사용했어요. 그러나 최근에 바꾼것은 토스통장으로 최근 핫한 파킹통장입니다. 이자율이 무려 2퍼센트거든요. 오늘은 토스통장 이자가 들어온 날입니다. 연2퍼센트의 이자가 한달 간격으로 정산되어 입금됩니다. 예금이나 적금처럼 일정시간 돈이 묶여있어야 하고, 중도에 해지라도 하게 되면 얼마 안되는 이자마자 .. 2022. 2. 19.
나의 현금흐름, 월급날 루틴, 돈 관리 나의 현금흐름, 월급날 루틴, 돈 관리 정기적으로 받는 급여는 월급날 월급 통장에 입금이 됩니다. 제가 사용하는 통장은 3개인데요. 1)월급통장 2) 모으기통장 3)지출통장 입니다. 별거 아니지만 꾸준히 하고 있는 저의 월급관리 방법입니다. 이전에는 고정지출과 변동지출, 비상금통장을 별도 관리하기도 했었는데 현재는 통장 3개로 간편하게 관리중이다 1. 모으기 통장 이체 월급이 들어오면 일단 정해둔 금액을 모으기 통장으로 이체합니다. 매달 고정적으로 정해둔 금액을 이체하며 기타 수당 등으로 추가수입이 생기는 달은 그때 그때 상황에 맞게 추가로 더 이체. 원칙은 정해둔 금액은 무조건 먼저 이체하기. 모으기 통장에서 대출이자도 나가는 중이라 모으기 금액+대출이자 까지 모으기통장으로 이체합니다. 모으기 통장으로.. 2022. 2. 9.
가계부 - 1월 앱테크 결산 가계부 - 1월 앱테크 결산 2022년에는 앱테크를 좀 더 적극적으로 해서 생활비 지출을 줄이는게 목표입니다. 다음은 1월에 얼마나 절약할 수 있었는지 정리해봤어요. 앱테크라고 했지만 각종 포인트와 상품권 등까지 모두 포함한 절약금액입니다. 무료도 얻은 상품권 금액 기록, 네이버적립포인트도 기록, 서울사랑상품권 10% 할인률이므로 할인률 만큼 기록. 쓱페이 : 각종 포인트 쓱머니로 전환하여 아파트관리비 결재 가능. 선물 받은 신세계 상품권으로 관리비 결재를 위해 쓱페이를 새로 설치하면서 알게된건 페이코인이나 KB포인트, 에코마일리지도 쓱페이로 전환할 수 있다는 사실. 사용이 애매했거나 있는지도 몰랐던 포인트들을 한번에 싹 쓱페이로 전환. 관리비 지출 시 사용할 예정입니다. 페이코인 앱 페이코인은 GS25.. 2022. 2. 7.
2022년 1월 가계부 정산 2022년 1월 가계부 정산 2022년 1월 가계부 정산입니다. 관리비, 실손보험료, 통신비, 교통비(대중교통)은 의지를 가지고 조절할 수 있는 금액이 아니므로 고정생활비이고, 그외의 항목들은 변동생활비 입니다. 지출 87만원 / 월 예산 90만원 1월 총 생활비는 65만원이었으나 깜짝지출이 추가되었습니다. 남자친구 선물과 부모님 지출이 추가 되어서 합계는 87만원입니다. 깜짝지출에 해당하는 금액은 미리 모아둔 금액으로 해결했어요. 식비는 CJ더마켓 및 집밥으로 방어하여 전달 대비 감소했습니다. 2월 목표 식비는 일단 15만원입니다. 최근에 구독하게 된 블로거 분의 2인 월평균 식비 6만원을 보고 자극을 받은 상태입니다. 물론 그분은 앱테크 등으로 식비방어를 하고 있다고 하는데 아무리 그래도 가능한 금액.. 2022. 2. 5.
컬쳐 문화상품권 사용하여 쇼핑 할인 받기 컬쳐 문화상품권 사용하여 쇼핑 할인 받기 쓰임새가 다양한 컬쳐랜드 문화상품권을 사용하여 스마일페이, 네이버페이, SK페이, 엘포인트, H포인트 전환해서 할인률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전환 수수료 6% 컬쳐랜드 홈페이지에서 지류 혹은 모바일 상품권을 컬쳐캐시로 충전해야 합니다. 충전된 컬쳐캐시는 6%의 수수료를 내면 스마일페이, 네이버페이, SK페이, 엘포인트, H포인트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무료로 얻게된 상품권의 경우 망설일 필요 없이 충전 후 전환을 하면 되는데요. 일명 상품권 테크를 하기 위해서는 수수료인 6% 이상 할인을 받아서 컬쳐랜드 상품권을 구입해야 합니다. 컬쳐캐시로 충전하는 방법으로는 지류나 모바일 상품권의 핀코드로 충전하거나 카카오페이 충전(3% 이득), 휴대폰 소액결재 충전, 간.. 2022. 2. 4.
1인가구 월평균 생활비 feat.나는? 1인가구 월평균 생활비 feat.나는? 요즘 1인가구가 엄청나다고 하죠. 실제 1인가구의 생활비는 얼마일까요? 통계청 자료와 저의 경우를 가지고 정리해봤어요. 1인 가구 월평균 생활비 뉴스에 2020년 1인가구 생활비에 대한 내용이 나왔더라구요. 1인 가구 월평균 132만원 지출…주거·식음료에 절반 사용 입력2022.01.29. 오전 11:09 월평균 지출이 132만원이라고 해요. 세금, 사회보험, 이자 등의 항목은 제외한 소비성 지출만을 따진 비용이라고 하는데요. 상세내역을 살펴보면 식료품이 18.1만원, 주류나 담배 3.2만원, 의류나 신발에 6.4만원, 주거비용이 25.7만원, 가정용품 등에 5.7만원, 보건 11.8만원, 교통 12.5천원, 통신 6.1만원, 오락문화에 8.4만원, 교육 2.1만원.. 2022. 1.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