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주식, 경제공부

망 사용료 란, 넷플릭스 요금인상 원인?

by ┌ΘΔΣ┘ 2021. 11. 20.
반응형

망사용료란

 

망 사용료 란, 넷플릭스 요금인상 이유?

 

거의 2년 동안 SK브로드밴드와 넷플릭스 사이에서는 망 사용료 문제로 갈등 중입니다. 잊을 만 하면 뉴스에도 나오는 망 사용료 논란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넷플릭스의 망 사용료 논란 

 

SK브로드밴드에서는 넷플릭스로 인해 인터넷 트래픽의 과부하게 생기며 이로 인해 설비 등에 있어서 추가비용 부담이 크므로 이에 대한 돈을 내라고 했어요. SK브로드밴드는 인터넷 사용하는 비용에 대해 돈 내! 라는 입장이고 넷플릭스에서는 못 내! 라는 입장입니다.

 

 

망 사용료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는 인터넷 속도와 품질을 위한 여러 설비를 해 두었어요. 이렇게 해서 원활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일종의 도로를 깔아둔 것이죠.

 

개개인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원하는 회사에 가입하여 돈을 내고,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어요.  

 

넷플릭스나 유튜브 등의 회사는 컨텐츠 업체인데 인터넷서비스 업체가 만들어둔 도로를 이용하여 개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인터넷 회사들에게 별도로 돈을 내고 있지는 않아요. 

 

그런데 넷플릭스와 유튜브를 이용할 때는 사용되는 트레픽이 어마어마합니다. SK브로드밴드 측에서는 기존설비로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이라 이로 인해 추가 설비로 든 돈이 너무 많다고 이야기하고 있어요. 넷플릭스가 원인이므로 너네가 이에 대한 돈을 좀 부담해! 라는 것이 SK브로드밴드 측의 입장입니다. 이게 바로 망 사용료예요.

 

우리가 설비한 인터넷 망으로 너네가 돈 벌잖아. 그러니까 너네도 돈을 내! 라는 것이죠. 

 

왜 넷플릭스와 SK브로드밴드만?

 

 

 

현재 이와 관련하여 넷플릭스에 돈을 내라고 한 것은 SK브로드밴드입니다. 현재 SK브로드밴드와 넷플릭스측에서 계속 소송이 진행중인 상황이예요. 

 

다른 인터넷 서비스 업체인 KT나 LG유플러스의 경우는 넷플릭스와 제휴하는 서비스들이 있어서 인지 관련 요구를 하진 않은 상황이예요. 제휴를 통해 이미 상당한 수익을 얻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넷플릭스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 회사들이 있어요. 현재 국내 콘텐츠회사들의 경우에는 모두 망 사용료를 내고 있다고 합니다.  심기어 금액도 어마어마한게 네이버는 700억, 카카오는 300억, 아프리카TV는 150억 원 정도의 금액을 내고 있다고 해요. 1년 사용료로요!  그 외에도 웨이브, 티빙, 왓챠 등 국내 OTT 서비스도 망 사용료를 꼬박꼬박 내고 있는 중입니다. 

 

왜 국내 기업들만 내는거야?!! 

국내 기업들만 내는건 좀 이상하죠? 원래 내 야 하는데 해외기업들이 안내는 것일까요? 안내도 되는 것을 국내기업에만 내게 하는 것일까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작년 우리나라 전체 인터넷 트래픽 사용 비중은 구글 23.5%, 넷플릭스 5%, 페이스북은 4%였다고 합니다. 네이버와 카카오를 합친것보다 훨씬 많은 비중이라고 하는데 정작 내는 돈은 0이라 합니다. 

 

어쨋든 국내기업과 해외기업 간의 형평성 문제는 있다고 보입니다.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위해서도 국내와 해외 기업에 동일하게 적용할 필요는 있어보여요. 그래서 정부와 국회에서도 나서긴 했는데 어떻게 될지..? 

 

아참, 넷플릭스는 몇 몇 국가에서는 이미 망 사용료를 내고 있다고 해요. (SK브로드밴드 측 입장) 모든 국가는 아니긴 한데 어느 국가에서는 내고 어디서는 안 낸다니! 뭔가 괜히 우리나라가 만만해?! 라는 생각이 조금 들긴 합니다. 

 

덧붙여 얼마전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 디즈니플러스의 경우는 외부 회사와 계약을 하고 해당 회사에서 국내 인터넷 업체에 망 사용료를 내기로 했다고 합니다. 이로써 간접적으로는 망사용료를 내고 있다고 해요. 

 

국내 망 이용대가가 다른 나라에 비해 지나치게 비싸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Mbps 9.22달러로 미국(2.16달러)에 4.3배, 유럽(1.28달러)의 7.2배 수준인 이라니 비싸긴 합니다.   같은 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도 ▲일본(5.08달러) ▲싱가포르(5.47달러) ▲홍콩(6.31달러) ▲대만(8.84달러)보다 비싼데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위 국가들보다 더 저렴한 건 인건비 뿐이 생각나지 않는건 저 뿐인가요...? 생필품만 비교해도 비슷한 수준의 국가들과 비교해서 항상 국내가 비싸다는 말이 많아서...

 

 

그나저나.. 넷플릭스가 국내 요금제를 올립니다.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올리는 것인데요,

 프리미엄(4인): 1만 4500원 → 1만 7000원,

스탠다드 (2인): 1만 2000원 → 1만 3500원

베이식(1인) 은 그대로 유지

 

새로 가입한 사람부터 적용하고 기존 회원은 점차 적용할 예정합니다. 기존 가입자들에게는 요금 인상에 동의하도록 하고 동의하지 않으면 키즈컨텐츠만 이용가능하다고 해요. 넷플릭스 측에서는 아니라고 하지만 망 사용료 때문에 선제적으로 올렸다는 설이 있습니다.

 

 

PS. 

 

얼마전 부터 업로드되고 있는 아케인에 푹 빠져서 챙겨보고 있고, 새로 개봉한 '지옥' 너무 재밌어서 밤새 정주행했어요. 다만 매번 그렇게 열심히 보는 것은 아니라 고민입니다. 가격이 올라도 기존 가입자들이 계속 이용할까요? 

넷플릭스-주가-차트
2021. 11. 20 기준 

올해 넷플릭스의 주가는 엄청나게 올랐어요. 이렇게 오를줄 알았으면 쌀 때 사뒀어야 했는데 매번 비쌀 때에나 눈이가게 되는 기업이네요. 앞으로 더 오를 수 있을까요?  

 

 

공포지수, VIX 지수 알아보기 

테이퍼링이란, 양적완화, 테이퍼링과 미국주식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과 주식시장의 관계

경기민감주란, 필수소비재와 임의소비재

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댓가, 그린플레이션이란

미국 국채 금리와 주가와의 관계 

버블과 금리의 상관 관계 알아보기

언더슈팅과 오버슈팅의 뜻 

BNPL 이란, 관련 주식 종목은? 

공매도 선행지표, 대차잔고란

블록딜이란, 주가에 미치는 영향

반응형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