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짠테크일기

2024년 가구당 평균 소득, 소비 절약을 위한 방법 💡

by ┌ΘΔΣ┘ 2025. 2. 28.
반응형

2024년 가구당 평균 소득, 소비 절약을 위한 방법


 

2024년 가구당 평균 소득과 소비 변화 📊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1만 5000원이었다고 .해요.  이는 1년 전보다 3.8% 증가한 수치라고해요. 저는 1인가구 인데, 가구당 월평균 기준이라 몇인 가구인지는 살짝 궁금해요.

아쉽게도 월급여가 521만원은 안되지만 아끼고 모아서 연 5000만원 이상 순자산은 증가했어요. 그거 아끼고 모아봐야 1년에 얼마..10년해봐야 얼마 안된다는 말이 많지만 종잣돈을 모으고 불리는건 중요해요. 모으기만 해서 큰 돈을 만들라능게 아니라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만들라는 말이예요. 어디서 뚝하고 종잣돈이 떨어지는게 아니라면 작다고 무시할게 아니라 작은 돈이라도 모아서 종잣돈을 만들어야 그 돈을 굴려서 투자할수 있어요. 상황을 바꾸기 위해서는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찾아서 하는 것이 필요해요. 2025년도 이제 10개월 남았어요. 다음은 당장 할 수 있는 방법이니 바로 시작해보세요.


저축과 절약을 위한 5가지 실천 방법 💸

1. 지출 내역 파악하기 📑


먼저 수입과 지출을 정확하게 기록해보세요. 어떤 항목에 돈을 많이 쓰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에요. 나중에 어디에서 절약할 수 있을지 알게 될 거예요. 🧐

수입지출은 적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피드백이 중요한데요. 내역을 한눈에 볼 수 있어야 피드백을 하기도 쉬워요. 그래서 가계부를 쓰는건데 가계부를 쓰기 전이라면 뱅크샐러드와 같은 앱을 이용하셔서 몇달치 내역을 뽑아보세요. 몇달치를 보는 이유는 그래야 평균 소비를 알수 있기 때문이예요.  매달 고정으로 나가는 통신비, 교통비, 구독서비스, 보험 등의 비용과 식비, 꾸밈비, 외식이나 모임 비용 등 내역을 파악하시는게 중요해요.




2. 필요 없는 소비 줄이기 🛑


지금 당장 필요하지 않은 소비를 줄여보세요. 예를 들어, 커피 한 잔을 외부에서 사지 않고 집에서 만들어 마신다거나 불필요한 멤버십이나 구독 서비스를 취소할 수 있어요. 🍵

전 쿠팡멤버십은 카드혜택으로 사용하고 네이버 멤버십을 사용해요. 제 지출 1위는 주담대, 2위는,매달 부모님께 이체이고 그 외 대부분의 지출은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거든요.

1에서 파악한 수입지출을 기준으로 예산을 정해서 예정산을 하다보면 필요없는 지출을 줄일 수 있어요.  지출을 줄이려면 소비내역을 파악해야 하고 매달 목표를 정해두고 정산을 해야 점차 필요없는 소비를 줄일 수 있어요. 야금야금 하다보면 이전에 필요했다고 여겼던 소비도 하지 않게 되는 것을 알수 있는데요. 저는 매주, 매달, 1년 총결산을 하고 있어요.



수시로 입력해두는게 편하고 예정산 기능이 유용해서 몇년째 사용중인 똑똑 가계부를 기본으로 사용해요. 개인적으로는 이거만한게 없더라구요. 요건 수시로 보고 건건이 세세한 수입과 지출을 기록하는 용이고 월별로는 스프레드시트에 항목별로 정산을 하고 있어요.

3. 자동 저축 설정하기 💰


매달 일정 금액을 자동으로 저축계좌로 이체되도록 설정하면, 소비보다 저축이 우선시될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저축을 의식하지 않아도 돈이 저절로 모이게 돼요. 📈  한달에 수입과 지출을 먼저 파악해야 적정 저축금액을 알 수 있어요.

저는 cma통장에 투자대기금으로 넣어두고 이 금액은 자산으로 잡고 투자용도로만 사용해요. 매달 급여에서 정해진 금액을 이체하고 추가수입이 생기는달을 더 넣어요. 혹시 급한 일이 생겨도 빌려오는 형태로 쓰고 다시 채워넣는답니다.


4. 비상금 마련하기 🚑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비해 비상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를 통해 갑자기 큰 비용이 들었을 때도 대비할 수 있어요. 저는 급할 때는 신용카드도 있고 투자 대기자 금도 있어서 굳이 3달까지 모아두진 않고 있고 연말에 머니 플랜을 짜서 예상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한 것을 대비하고 있어요.


연간 머니플랜 양식




연말정산 환급 예정이라 성과 상여금 등 추가 수입의 대충 예상치를 적고 가족 이벤트나 개인 이벤트도 대략 적어둬요. 1년 치 필요한 이벤트 비용과 추가 수입이 대략 나오면 언제 얼마의 이벤트비용을 별도로 모으겠다는 계획까지 완성돼요.

5. 장기적인 목표 설정하기 🎯


저축을 할 때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해요.  저는 순자산 30억을 모으기 위한 장기 로드맵과 매년 1년짜리의 로드맵이 있어요. 매년 연말~ 연초에 작년 내역을 바탕으로  1년짜리 머니플랜을 세워요.  작년 수입과 지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획을 세우는거예요. 연말 최종 목표, 매달,목표를 계획해요. 그리고 월말에 정산을 하면서 수입 지출, 저축금액, 순자산을 확인하고 피드백해요.  🌟  
매달 예산내에서 지출했는지, 목표한 만큼 저축했는지, 실제 순자산은 얼마나 증가했는지 매달 목표가 있으니 실제 정산하면서 달성률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거예요.

아직 10개월이나 남은 2025년 종자돈을 만들기 위한 목표를 세우고 실천해 보시면 어떨까요?


돈 관리하는 방법, 가계부 어플, 엑셀 가계부

나의 현금흐름, 월급날 루틴, 돈 관리

1인가구 생활비, 지출구성




반응형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