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주식, 경제공부

제로 이코노미란

by ┌ΘΔΣ┘ 2021. 12. 2.
반응형

제로 이코노미란

 

제로 이코노미란 제로금리, 제로 물가상승률, 제로 출산률 등 모든 것이 제로로 돌아가고 있는 경제 상황을 의미합니다. 

 

뉴스에서 금리가 오르고, 물가 상승률이 높고 등의 표현을 할 때 항상 부정적인 내용이었기 때문에 그럼 0퍼센트 대 인건 좋은게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0퍼센트 대의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금리 등은 절대 좋은 의미가 아닙니다. 

 

경제가 계속해서 성장해야 하는데 성장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으니 물건을 사려는 수요도 줄고, 물건을 사려는 수요가 없으니 물가도 정체되어 있고, 그러면 투자도 안하게 되고 금리도 낮은 수준에 머무르게 됩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떠올리면 될것 같아요. 

 

특히 코로나 상황에서 각국에서 기준금리를 낮추었었다가 이제 상황이 좋아지자 금리를 올리고 있는데요. 그럼 경제는 이제 좋아지는 것일까요? 

 

아쉽게도 금리 하나만 가지고 제로 이코노미를 벗어났다고 할 순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내년에 수출 증가세가 둔화됨과 동시에 소비 역시 충분히 회복되지 않으면서 경제성장률이 2%대로 낮아진다고 전망합니다. 또, 현재는 인플레이션을 걱정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막혔던 공급망이 해결되면서 가격 상승이 정상화되면 물가상승률도 다시 하락세를 나타낼 전망이라고 해요.

 

소비가 충분히 회복되지 않는다면 경제성장률이 2% 대로 낮아질 전망이며 이는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는 여전히 제로 이코노미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반응형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