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적 자유294 금요일 상승은 반발 매수 일까, 상승장일까. 금요일 상승은 반발 매수 일까, 상승장일까. 1. 머스크의 테슬라 매도 2.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 이번주는 이 두가지 이슈로 하락했다가 금요일 다시 상승하였습니다. BUT 이번주 전체로 보면 다우지수는 0.6% 하락, 나스닥은 0.7% 하락, S&P500은 0.3% 하락 했습니다. 이에 대해 금요일 상승은 반발매수로 이제까지의 강세장은 이제 끝났다는 의견과 역시 강세장이라 좋지 않은 이슈에도 바로 반등한다는 의견이 엇갈리는것 같습니다. 어쨋든 복리의 마법을 위해서는 주식시장에서 빠져나가면 안되므로.. 잘 살펴보며 종목선정을 신중하게 해야 겠습니다. 10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30년만에 가장 급격한 상승이라는 발표이후 채권수익률이 올랐습니다. 성장주들이 더 떨어질지 잘 봐야겠습니다. 인플레이션 우려는 더 .. 2021. 11. 13. 테이퍼링, 긴축재정 인플레이션 시기 사야할 종목은 테이퍼링, 긴축재정 인플레이션 시기 사야할 종목은 그 동안 하도 반복이 되어서 익숙해진 테이퍼링 이슈인데 이제는 정말 정말 테이퍼링이 코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돈을 마구마구 풀 때는 아무거나 정말 잘 올랐는데요. 이제는 정말 종목선정이 중요할 것 같아요. 긴축의 시대인 앞으로 유망한 종목들은 독과점 기업들, 제품가격을 올려서 마진률을 높이는 기업들을 꼽고 있는데요. 애플은 아이폰 평균 판매 단가를 계속 상승시키고 있고 앱 수수료도 30%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AMD는 차세대 제품 가격을 15% 이상했으며 비싼 단가의 고마진 제품 판매를 늘리고 있다고 해요. 마이크로소프트는 주력 제품인 오피스 365가격을 올릴 계획이며, 나이키는 베트남 공급망 이슈에도 정가제품 판매 정책을 유지하면서 매출 마진을 높였습니.. 2021. 11. 12.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전반적인 하락 , but..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전반적인 하락 , BUT 美 10월 소비자물가 6.2%↑…“30년만에 최고 상승률” 10일(현지 시각) 경제전문매체 CNBC는 미국 노동부의 발표 내용을 인용, 올해 10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6.2%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5.9%)를 웃돌았고, 지난 1990년 12월(6.3%) 이후 거의 3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그제는 머스크의 테슬라 매각 설문으로 인해 테슬라가 하락하더니 어제는 소비자물가 최고상승률이라는 소식에 기술주 위주의 하락이 나왔습니다. 최근 계속해서 신고가를 찍는 지수 덕에 좋아라 했는데 포스팅 하자마자 뚝 떨어지는 기적을 맛봤네요. 너무 좋아했나봅니다. 처음 장 전에 하락 할 때는 뭐 이정도야 했는데 아침에.. 2021. 11. 11. agnc 배당금 입금, 미국증시는 상승 중 agnc 배당금 입금, 미국증시는 상승 중 1. AGNC 배당 지급일 AGNC는 월배당을 주는 고배당 리츠 모기지 주식으로 제가 애정하며 모으고 있습니다. 매달 꼬박꼬박 정해진 날짜에 배당이 들어오는데 오늘 역시 배당 입금이라며 카톡이 왔습니다. 10월에는 12일에 입금이 되었는데 오늘이 9일이나 11월에는 좀 더 빨리 들어왔네요. 이전 입금일을 보면 9월 10일, 8월 10일, 7월 12일 배당이 들어왔습니다. 2. 상승 중인 미국시장 많이 올랐는데 더 오를까? 했는데 여전히 잘 오르는 미국시장입니다. 제가 가진 종목들은 이번 실적이 좋지 않았다는 스퀘어를 제외하면 모두 상승 중! 그 중에 돋보이는 건 엔비디아이고, 인프라 투자 관련 예산 편성 소식이 들린 후로 차지포인트도 훅 올라주더니 오늘은 장전에.. 2021. 11. 9. 3달 간의 연금저축 수익률, 연금저축 ETF 3달 간의 연금저축 수익률, 연금저축 ETF 지난 8월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했습니다. 몇달이 지난 지금 종목과 수익률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제 목표는 연10%의 수익률이었고 최소 20년간 연300만원씩 넣을 예정이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계좌개설 연금저축 계좌 ETF 종목명 비중 수익률 KINDEX 미국 나스닥 100 27.8% 6.53% Tiger 미국채 선물 10년 3.8% -1.32% Tiger 차이나 CSI300 1.9% 2.67% KBSTAR Fn수소경제테마 26.6% -1.54% Tiger글로벌리튬&2차전지SOLACTIVE(합성) 39.5% 11.89% 제가 매수한 종목들은 위 5개 입니다. 일단 매년 10퍼센트 이상 안정적인 수익률을 위해 나스닥은 무조건 있어야 하기에 나스닥 지수 추종 ETF .. 2021. 11. 4. 요소수란, 품귀 원인과 미치게되는 영향 요소수란, 품귀 원인과 미치게되는 영향 요소수가 뭐길래…"1월 물류대란 올 것" 화물차 뒤집어졌다 (중앙일보) 이런 기사 제목이 최근에 자주 보입니다. 요소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요수소는 디잘차의 저감장치(SCR)에 꼭 필요한 물질로 자동차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과 반응해 오염물질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에 품귀현상으로 인해 가격이 오르고 있으며 물류대란이라고 할 만큼 자동차용품 매장에서도 품절로 구하기 힘든 상태입니다. 휘발유보다 3배 비싼 가격이라고 하니 엄청나죠. 요소수는 특히 디젤차와 화물차에 필요한 제품이지만, 화물차의 경우 이동거리도 많고 배기가스의 배출량도 많기 때문에 요즘같은 품귀현상에 특히 타격이 큽니다. 요소수 품귀 원인 요소수 품귀 원인은 중국의 수출규제 입니다. 요소수.. 2021. 11. 3. 국내 상장 vs 해외 상장 ETF 양도세와 금융종합소득세 국내 상장 vs 해외 상장 ETF 양도세와 금융종합소득세 요즘 ETF 전성기라고 할 만큼 많은 ETF 투자가 활발한데요. 미국 S&P나 나스닥, 다우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경우 미국과 국내에서 상장한 ETF가 모두 있는 만큼 어떤 것이 더 유리한지 고민을 해보게 됩니다. 그래서 비교해봤습니다. 1. 해외 상장 ETF = 미국 시장에서 거래되는 ETF 먼저 해외에 상장ETF의 경우 해외주식을 포함하여 연 매매차익 250만 원 초과 시 22% 양도세를 내게 됩니다. 배당의 경우 미국의 경우 15%를 원천징수하고 입금이 됩니다. 2. 국내에서 거래되는 해외 ETF 국내 시장에서 거래되는 해외 ETF는 미국 S&P나 나스닥, 다우지수를 추종한 상품인데요. 같은 지수를 추종했더라도 다양한 증권사에서 서로 다른 .. 2021. 11. 2. 2021. 10월 결산. 주식으로 월세 수익 2021. 10월 결산. 주식으로 월세 수익 10월 1일 메모에 나스닥과 카카오 하락으로 잔고가 하락했다고 적었는데 그 사이 미국 주식이 상승장입니다. 그쯤 하락으로 평가금액이 많이 떨어졌던 것 같은데 최근 상승 덕분에 오늘 날짜 기준 10월 1일 주식 평가금액 대비 10퍼센트가 올랐습니다. 1개월 실적으로 보면 대부분 초록색으로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9월 말 결산 때의 한달 실적을 봤을 때 온통 붉은 색이였던 것과는 매우 다르죠? 마이크로소프트가 9월에 4% 정도 하락하면서 애플, 구글, 아마존 등의 다른 회사보다 조금 떨어졌는데 10월에 17% 이상으로 굉장히 많이 상승했습니다. 테슬라는 많이 올랐다고는 들었는데 10월달에만 43% 상승으로 정말 엄청나게 올랐네요. 먼저 하락장을 대비하여 일.. 2021. 10. 31. 10월 미국주식 배당 결산하기 10월 미국 주식 배당 결산하기 이번 하락 때 매수한 종목들이 상승장이 오면서 수익을 내주어서 올해 제 누적 수익률도 최고가를 찍었습니다. 기술주 위주의 성장주를 좋아하지만, 하락할 때 멘탈방어를 위해 꼬박꼬박 배당나오는 종목 역시 일정비중 가지고 있는데요. 10월 미국주식 배당 결산입니다. 지난 9월에는 세후 79달러 정도 배당을 받았고, 이번 달에는 99달러 배당을 받았습니다. 리얼티 인컴 대표적인 배당주로 부동산 리츠 주식입니다. 1월에 5달러 대의 배당을 받고 익절 했다가 5월부터 매수하기 시작했습니다. 월배당이며, 4%대의 배당률이었는데 이번에 오르면서 현재 시가배당률은 3%대 입니다. 이번 달 배당은 세후 45달러 정도 받았습니다. 테이퍼링 이슈 때문인지 갑자기 올라서 현재 수익률은 7% 정도.. 2021. 10. 26. 뮤직카우 해외투자, 음악 저작권 참여 청구권 뮤직카우 해외투자, 음악 저작권 참여 청구권 브레이브걸스의 롤린의 저작권이 50배 뛰게 되면서 뮤직카우가 주목을 받게 되었는데요. 뮤직카우는 정확하게는 음악 저작권 참여 청구권에 투자를 하여 수익을 받는 플랫폼입니다. 얼핏 저작권을 거래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둘은 서로 다른 개념인데요. 저작권 참여 청구권은 해당 음악의 저작권으로 받는 수익을 구매한 지분 비율로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저작권 자체는 플랫폼이 소유하고 있게되며 청구권을 판매하여 그 비율대로 뮤직카우라는 플랫폼에서 저작권료를 나눠받게 됩니다. 음악 저작권 참여 청구권을 투자 대상으로 편입시킨 플랫폼은 전세계 최초라고 하는데요. 그래서 인지 해외진출을 한다는 기사가 나서 가져왔습니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해외 진출을 목표로 미국 지사.. 2021. 10. 19.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