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국경세란 무엇인지, 2026년 EU에서 본격 시행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내용과 우리나라 철강·화학·시멘트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했습니다.
탄소국경세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핵심 개념 정리
최근 탄소국경세라는 용어가 뉴스에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정식 명칭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인데요,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을 수출할 때 추가로 부과하는 일종의 환경 관세입니다.
특히 **EU(유럽연합)**이 2026년부터 정식 도입을 예고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수출 중심 제조업 국가들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 탄소 많이 배출한 제품에 추가 관세 부과
✅ EU, 2026년부터 본격 시행
✅ 철강·시멘트·비료·알루미늄·전기 등 탄소 다배출 업종 대상
왜 탄소국경세를 도입할까? 배경과 이유
EU는 탄소중립 2050 목표 달성을 위해, 역내 기업에 강력한 탄소 감축 의무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환경 규제가 약한 국가에서 만든 제품이 값싸게 수입되면, 유럽 기업들이 역차별을 당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입 제품에도 동일한 탄소비용을 물리겠다는 게 CBAM의 핵심 취지입니다. 이렇게 하면 유럽 기업들도 보호하고, 전 세계적으로 탄소 감축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요점 정리
- 유럽 기업 역차별 방지 목적
- 글로벌 탄소 감축 압박 수단
- 탄소 비용을 공정하게 부담하는 구조로 전환
탄소국경세, 실제 부과 방식은? — CBAM 인증서 구매제
탄소국경세는 ‘고정 세율’을 정해놓고 걷는 방식이 아닙니다. EU는 해당 제품을 수입하려는 기업에게 CBAM 인증서를 의무적으로 구매하게 합니다.
인증서 구매 기준은?
- 수입량
- 해당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
CBAM 인증서 가격은?
EU 내 탄소배출권 거래제도(EU-ETS)의 주간 평균 가격으로 책정
결과적으로 EU 탄소배출권 가격이 오르면, CBAM 인증서 가격도 상승합니다.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제품일수록 부담이 더 커지는 구조입니다.
- 관세라는 이름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는 환경 관
세 역할을 하는 셈입니다.
✅ 요점 정리
- 수입업체 CBAM 인증서 구매 의무
- 가격은 EU-ETS 주간 평균 가격 연동
- 탄소배출 많을수록 수입 비용 증가
- 사실상 탄소 관세 기능 수행
우리나라 수출기업, 얼마나 영향을 받을까?
특히 한국의 철강·석유화학·시멘트 업종이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들 산업은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인데다,EU 수출 비중도 높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대표 기업 현황
- 포스코: 저탄소·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중
- 현대제철: 전기로 전환 및 친환경 공정 투자 확대
- LG화학: 탄소중립 공장 추진, 재생에너지 전환 강화
- 삼표시멘트: 친환경 연료 전환 및 저탄소 시멘트 개발 박차
✅ 요점 정리
- 철강·화학·시멘트 업종 직격탄
- 탄소 감축 기술 없으면 수출 경쟁력↓
- 주요 기업들 친환경 전환 가속화 중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할까?
정부도 발 빠르게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특히 탄소국경세 대응 TF를 구성하고,
국내 수출기업 지원과 국제 협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주요 대응책
1. 국내 탄소배출권 거래제(K-ETS) 강화
국내에서 이미 부담한 탄소비용은 CBAM에서 인정받도록 협상 추진
2. 수출기업 탄소 감축 기술 지원 확대
- CCUS(탄소포집·저장·활용) 실증 지원
- 친환경 공정 전환 위한 정책자금 지원
3. 국제사회와 공조 강화
- CBAM 세부 기준 협상 적극 참여
- WTO 등 다자협력 채널 활용해 환경무역장벽 완화 요청
✅ 요점 정리
- 국내 탄소비용 인정 협상
- 감축 기술·공정 전환 지원 확대
- 국제 협력 통해 규제 완화 추진
탄소국경세, 위기이자 기회다
결국 탄소국경세는 우리 수출기업 입장에서 위기 요인이지만, 한편으로는 저탄소 기술 경쟁력을 키우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글로벌 ESG 경영 강화 흐름 속에서, 탄소 감축을 선도하는 기업은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며 친환경 이슈가 시들해지긴 했지만 2026년 시행까지 2년도 남지 않았습니다.
탄소국경세는 단순한 무역 이슈가 아닌,
기업 생존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기업과 정부 모두 선제적 대응이 필요할 것 같네요.
'경제적 자유 > 주식,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공매도 재개! 무차입 공매도란? 불법 공매도 사건까지 총정리 (1) | 2025.03.06 |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왜 중요할까? 트럼프 관세 발언과 숨은 전략까지 (1) | 2025.03.05 |
수소 운송기술, 관련 기업 (0) | 2025.03.03 |
다음주 미국 증시 전망! ISM 제조업지수와 고용보고서가 관건 (0) | 2025.03.02 |
한국 주식시장, 공매도 재개! 공매도란 무엇이고, 장단점은? (0) | 2025.03.02 |
댓글